url-pattern 이란? 우리는 어떤 서블릿을 만들고서블릿 맵핑을 시킨다 서블릿을 사용하면 주소에 경로가 뜨게된다이것은 보안에 굉장히 좋지않다.그래서 특정한 단어로 맵핑을 한다. url-pattern 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디렉토리 패턴, 확장자 패턴,보통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것처럼어노테이션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 디렉토리 패턴은 디렉토리형태로 서버의 해당 컴포넌트를 찾아서실행하는 구조이다. 확장자 패턴은 확장자형태로 서버의 해당 컴포넌트를 찾아서실행하는 구조이다 디렉토리 패턴은 이전 포스팅에서계속 사용했으므로 따로정리하지 않겠습니다. 확장자 패턴의 사용법은예를 들어 jsp 파일에서 form태그의 값을 넘길때 action값으로 위와 같이 .do 로 데이터를 보냅니다다음 서블릿에서는 위처럼 *.do..
eclipse 에서 톰캣을 사용하여 공부하다 보면 가끔 포트번호 오류가 나올때가 있습니다읽어보면 보통 포트번호가 중복으로 사용된다하여 서버실행이 안될때가 있는데전 이럴때 그냥 서버 포트번호를 바꿔버립니다. 먼저 위 이미지에 톰켓 서버를 더블클릭 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위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포트번호를 바꾸고 저장합니다
eclipse 사용하다가 톰캣 오류가 생길때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위와같은 오류가 나올때가 있는데 대부분 저오류의 원인은여러프로젝트를 서버에 등록해서 그렇습니다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먼저 이클립스 화면좌측 Project Explorer 에서 Servers ->server.xml을들어가줘야 합니다 다음 server.xml 파일 맨 아래쪽에 아래이미지와같이여러 프로젝트가 서버 xml에 들어가있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실행시키려는 서버의 Context 만 남겨두고 다른 프로젝트 Context 는 지워 주시고Ctrl+s 눌러 저장해주시면 됩니다.
이번엔 이클립스에 톰캣서버 셋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톰캣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톰캣 서버를 다운받겠습니다. 톰캣8버전을 설치해줍니다 Core 에 zip 눌러서 톰캣 서버를 다운받습니다다운받은 서버를 압축해제 합니다다음 서버폴더를 잘라내기 해서 C드라이브에 넣어줍니다 (경로는 상관없지만 이클립스에서 서버경로를 쉽게 찾기위해 C에 넣었습니다) (저는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를 사용하여 버전이 다를수 있습니다) 다음 이클립스를 실행시킵니다. 실행시킨후 서버 등록을위해아래 이미지와같이 이클립스 상단에 Window -> Preferences 들어가줍니다 위화면이 나오면 왼쪽에 Server 탭에 Runtime Envir~ 눌러줍니다 다음 Add 버튼눌러서버 추가해줍니다 다음 우리가 받은 8버전의 톰캣을 누른후 브라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