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의 역전 -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 구조가 뒤바뀌는 것 일반적 프로그램의 흐름은 main() 메소드와 같이프로그램이 시작될때 다음에 사용할 오브젝트를 결정하고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브젝트의메소드를 호출하고 그 오브젝트 메소드 안에서 다음에 사용할것을 결정하고 호출하는 식의 작업이 반복됨 제어의 역전은 오브젝트가 자신이 사용할 오브젝트를스스로 선택하지 않음.생성하지도 않음. 모든 제어 권한을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위임하기 떄문이다. 제어의 역전 개념은 이미 많이 적용되어있다.대표적으로 서블릿 서블릿은 개발을해서 서버에 배포할 수는 있지만그 실행을 개발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대신 서블릿에 제어 권한을 가진 컨테이너가 적절시점에 서블릿 클래스의 오브젝트를 만들고그 안의 메소드..
회사 입사 후 JSP 서블릿과 오라클만 사용해게시판을 만들었다. 1년 6개월 정도만에 서블릿을 사용했다. 너무 오랜만이라 기억이 안나서다시 공부하면서 만들었다. 역시 뭘 하든 셋팅이제일 오래걸리고 힘들었다. 게시판 제작 첫 날은JDBC도 제대로 설정 못하고 퇴근했다.이클립스도 처음에 잘못 설치해서 삭제하고다시 다운받고..... 서블릿만 사용해 게시판을 만들어보며스프링과 마이바티스가 정말 개발을 할 때 편리하단걸느낄수 있었다. (원래 알고있었지만 이 일로 인해 직접적으로 느꼈다.) 난 처음 웹 개발 공부를 할 때자바-> 자바스크립트 -> 스프링+마이바티스 ->JSP 서블릿이 순서로 공부를 했다. 자바스크립트 공부를 하고 JSP도 제대로모르는데 그냥 바로 스프링으로 넘어갔다.원래대로라면 스프링 공부전에 JS..
이번엔 (16)포스팅에서만든 회원인증 프로그램에 게시판기능을 같이 만들어 보겠습니다.이번엔 게시판과 함께부트스트랩 이용해서 좀더디자인적인 면도 이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먼저 아래이미지 대로getbootstrap.com 사이트에 가서부트스트랩을 다운받습니다 -- -- -- 다음 받은 파일에서 css, js, fonts 폴더를복사해서 이클립스 프로젝트WebContent 에 붙여넣기 합니다 다음 디벨로퍼에서 테이블과 시퀀스를생성합니다 시퀀스는 primary key 설정된 bId 값이1씩 자동으로 증가하게 하기 위해 생성합니다bId는 글번호 입니다.Group와 Step Indent는 답글을 위해 만들어줍니다보통 답글은 원래의 글보다 글쓰기가 들여쓰기 되어있고 댓글들의 그룹을 표시하기위해위3가지 데이터를 생성한겁..
MVC 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 를 뜻하는 용어로 개발 형태의 일종입니다.Model은 데이터 베이스와의 관계를 담당합니다.클라이언트의 요청에서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뽑아내거나 수정하여 Controller 로 전달 합니다.View는 사용자한테 보여지는 UI화면입니다 주로.jsp 파일로 작성합니다.Controller에서는 어떤 View 컴포넌트를 보여줄지 결정합니다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적절한 Model에지시를 내리며 Model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적절한View에 전달 합니다.이렇게 작업을 분할하여 개발을 한다면유지보수및 확장성에 굉장히 좋습니다. 먼저 MVC 패턴에는 2가지의 방식인Model1 방식와 Model2방식이 있습니다 모델1방식은Vie..
Command 패턴이란?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들에 대해 서블릿이 작업을 직접하지않고 해당 클래스가 처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jsp 에서 게시판의글목록들을 보여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면서블릿에선 이 요청을 받고게시판 글목록을 출력시켜주는 클래스로일을 넘깁니다. 예제를 보겠습니다. 위와같이 서블릿에서 게시판 글목록 출력을요청 받으면 게시판 글목록 출력을 수행해주는BListCommand 라는 클래스로 일을 시킵니다.-- -- 그리고 BListCommand 클래스에서 BCommand 라는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dao 에 접근하여로직을 수행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게시판을 다루며직접 사용해보겠습니다
FrontController 패턴 이란?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청을 한곳으로 집중시켜개발 및 유지보수에 효율성을 극대화 합니다. 즉 여러개의 요청이 들어왔을때각 요청의 일을 수행하는 서블릿을하나하나 따로 만드는것이 아니라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서블릿 하나를만드는 것입니다.먼저 구조를 보면 첫번째 구조가 FrontController 패턴을 쓰기전이고두번째 구조가 FrontController 패턴을 사용한것입니다. 간단하게 사용법을 보자면 jsp 에서 .do로 가는 값들을 서블릿에서 모든요청을 받은후 처리합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