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학교 4학년 마지막 학기를 다니고 있다. 마지막 학기를 듣는 수업중 하나가Vue.js 수업이다. Vue.js를 기존에 들어보기만 했지직접 사용해보진 않았기 때문에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수업중에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Vue.js는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이다.나는 처음에 웹개발이란 것을 하려고 할때백엔드 쪽으로 가야겠다 생각하고 웹 공부를 했다. 하지만 요즘 개발자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백엔드와 프런트엔드의 구분이 조금 애매모호해져가고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기존 백엔드를 개발하시던분들이 프런트엔드를 공부하고 프런트엔드를 개발하시던분들이 백엔드를 공부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요즘 웹 개발을 제대로 하고 싶다면둘다 공부 하라고 한다.다른 나라는 어떤지 몰라도 우리나라 에서는 현재둘다 알아야 하니 둘다 ..
json형태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가자주 있을수 있다xml이나 json등의 형식으로 주고받은 경우가빈번하게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스프링 MVC도 클라이언트에서전송한 xml 데이터나 json 데이터를 컨트롤러에서DOM객체나 자바 객체러 변환해서 송,수신 받을수 있다. @RequestBody 어노테이션과 @ResponseBody 는각각 HTTP요청 몸체를 자바 객체로 변환하고자바 객체를 HTTP 응답 몸체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RequestBody-HTTP 요청 몸체를 자바 객체로 전달받음-HTTP 요청의 body내용을 자바 객체로 매핑 @ResponseBody-자바 객체를 HTTP 응답 몸체로 전송-자바 객체를 HTTP 요청의 body 내용으로 매핑 ex1)123456@RequestMappi..
이번엔 @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설명보다 직접 테스트를 바로 해보겠습니다 실행시킬때는 이전포스팅 처럼get방식으로 직접 URL에 값을 넣어줘야합니다
이번엔 스프링에서 HttpServletRequest 클래스를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컨트롤러에 @RequestMapping 하나 추가해줍니다. 다음 views 에 test 폴더를 만들고test.jsp 파일 하나 만들어줍니다 다음 실행시켜봅니다 주소창에http://localhost:9080/ex/test/test를 쳐서 실행시키면 ID와 PW에 아무값도들어가 있지않습니다왜나하면 getParameter로 값을받을땐보통 form 태그 에서부터 값을 요청 하지만지금은 form 태그에서 넘어올 값이 없어아무런 값이 뜨지않습니다. http://localhost:9080/ex/test/test?id=12345&pw=67890위 get방식으로 값을 넣어줘야 값이 출력됩니다
먼저 스프링에서 MVC패턴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만드려면 MVC프로젝트를 만들어야한다생성방법은 아래와 같다 -- 먼저 프로젝트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다음 컨트롤러 클래스를 생성해야한다.최초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들어왔을 때 컨트롤러로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요청에 대한작업을 한후 뷰쪽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다음 @RequestMapping을 이요해 요청경로를 지정하고 요청처리 메소드를 구현후 뷰이름으로 리턴한다. 먼저 테스트를 해보자HomeController에 @RequestMapping을추가해 경로를 만든다 간단하게 3개만 만들어준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
SPRING 을 사용하려면 DI 라는것을알아야 한다 DI는(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 하며의존성 주입이라 부른다 먼저 클래스로부터 A라는 객체를만들었다고 생각하자 하지만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객체 하나 가지고는 개발을 할수없다그래서 B객체와 C객체 등의 여러가지 객체를사용해주어야한다 이때 A객체는 B객체와 C객체에의존을 한다고 표현한다.이때 B,C 객체를 사용하려면A객체가 B,C객체를 직접 생성하여사용하는 방법과 A객체의 setter() 또는 construct() 를 이용하여B,C객체를 외부에서 생성하여 A객체에 주입시켜사용하는 방법이 있다.즉 전좌는 A객체 내부에서 다른 객체를 생성하지만후좌는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때 개발론적으로 본다면 후좌의 선택이 더 효율적이고스프링..
이클립스에서 스프링을 사용하려면먼저 플러그인을 다운받아야 한다. 먼저 이클립스를 실행시킨후아래 이미지와같이 실행한다 help탭은이클립스 상단에 위치한다. -- 다음 검색란에 STS 입력하고스프링툴을 설치하는데 중간에 체크박스로 뜨는 스프링에서 사용되는모든것들을 체크하고 다운받는다 다음 설치가 다되었다면이클립스를 재실행 시킨후 아래 이미지처럼 Spring 탭을 눌러준다 이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법은 화면 좌측 Package Explorer 에마우스 우클릭후 위처럼Project 들어간다 다음 위와 같이 검색란에 spring 친후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다음 스프링 메이븐을 선택해서 만들어주는데밑에 Spring MVC Project는MVC패턴 프로젝트를 만들때 사용되며추후에 사용하게 된다.
스프링이란? 스프링은 JAVA언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약속된 프로그래밍 틀입니다. 스프링의 경우 톰캣을 서버로 사용할수 있고스프링이 사용되기 이전에 비해 훨씬코드가 경량화 되고 개발 중에테스트가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프링은 국내 자바개발자 들에게표준 프레임워크가 되었습니다.스프링을 배우고 활용한다면웹 개발을 훨씬 쉽고 빨리 개발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프링은 많은 개발자분들도사용에있어 능숙하게 다루기 힘들다는말이 많은 만큼 많은양의 공부와코딩이 필요 할 것입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