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props에대해 알아보았다.props는 상위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 하는 방식이다. 이번엔 그 반대로 하위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로의 통신에대해알아보자. 먼저 하위에서 상위로 통신을 하기위해선이벤트를 발생시켜 상위 컴포넌트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이 있다.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컴포넌트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기를 기다리다가하위 컴포넌트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위 컴포넌트에서해당 이벤트를 수신해서 상위 컴포넌트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된다. 먼저 이벤트 발생과 수신은 $emit()과 v-on: 속성을 사용한다.각각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emit()을 사용하게되면 괄호 안의 이벤트가 발생된다.(보통 $emit()을 호출하는 위치는 하위컴포넌트의 특정 메소드 내부)따라서 $emit..
앵귤러1이나 백본과 같은 초창기 자바스크립트프레임워크에서는 한 화면을 한 개의 뷰로 정의했다.그래서 한 화면의 데이터를 해당 화면 영역 어디서든지호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뷰의 경우 컴포넌트로 화면을구성해서 같은 웹 페이지라도 데이터를 공유할수 없었다.왜냐하면 컴포넌트마다 자체적으로 고유한 유효범위(scope)를갖기 때문이였다. 이는 뷰 프레임워크 내부에서 정의된 특징이다.따라서 각 컴포넌트의 유혀범위가 독립적이라 다른 컴포넌트의값을 직접 참조할수가 없다. 먼저 간단하게 예제를 보자.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 Vue Component Scope // 첫 번째 컴포넌트 var cmp1 = ..
컴포넌트(Component)란 조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블록(화면의 특정 영역)을 의미한다. 컴포넌트를 활용하면화면을 빠르게 구조화해서 일괄적인 패턴으로 개발을 할수있다.이렇게 화면의 영역을 컴포넌트로 쪼개서 활용할수 있는 형태로관리하면 나중에 코드를 다시 사용하기가 편하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정해진 방식대로 컴포넌트를 등록하거나 사용하게 되므로남이 작성한 코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간단하게 컴포넌트를 사용해보자컴포넌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전역과 지역의 두가지가 있다.지역컴포넌트는 특정 인스턴스에서만 유효한 범위를 갖고전역컴포넌트는 여러 인스턴스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전역변수와 지역변수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것이다. 먼저 전역컴포넌트를 사용해보자.전역컴포넌트는 뷰 라이브러리는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