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자 중에 : 기호를 포함하는 선택자를 필터 선택자라고 부른다. 입력 양식 선택자 jquery의 입력 양식 필터 선택자이다.(자주 쓰이는 편은 아니다.) (필터 선택자 자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setTimeout 을 사용한 이유는 시간초내에 다른option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치 필터 선택자 함수 필터 선택자 여러가지의 함수 필터 선택자가 있지만 eq만 알면 될 것 같다.eq(n)은 n번째 위치한 문서 객체를 선택한다.n에는 배열의 인덱스 처럼 0부터 시작한다.
속성 선택자는 기본 선택자 뒤에 붙여 사용한다.속성 선택자는 입력 양식과 관련된 태그를 선택할 때 많이 사용한다. 아래에서 input태그들은 태그 선택자로 구분할 수 없다.id, class 속성을 입력해 아이디 선택자나클래스 선택자를 사용 할 수 있지만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그래서 속성 선택자를 사용한다. 속성 선택자를 활용해 아래와같이 사용할 수 도있으니꼭 알아두자
자손 선택자와 후손 선택자는 기본 선택자의 앞에 붙여 사용하며 기본 선택자의 범위를 제한한다. body태그 바로 아래 있는 div태그를 자손이라 한다.그리고 body태그의 아래에 있는 모든 문서 객체를후손 이라고 한다. 라고 책에 쓰여져 있지만 역시 프로그래밍 이론 공부는보면서 쳐보는게 제일 좋다. 자손 선택자는 자손을 선택하는 선택자이며 요소A> 요소B의 형태로 사용된다.아래에서는 body태그의 자식으로 범위를 한정해전체가 선택된다. 크롬 개발자 도구로 확인을 해보면 div태그에만 css가 적용되어있다. 후손 선택자는 이름 그대로 후손을 선택하며 요소A 요소B 의 형태로 사용하며요소A의 후손으로 범위를 한정한다.아래는 body 태그의 모든 후손을 선택한다. 크롬 개발자 도구로 확인을 하면body 태그의..
선택자 또는 타겟 설정은 jQuery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이다.어렵지 않은 부분이니 바로 보면서 시작하자.먼저 7line은 제이쿼리 CDN 호스트 주소이다.제이쿼리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 할 수 있다.첫 번째 방법은 위처럼 CDN 호스트를 사용하는 법이고두 번째 방법은 직접 다운을받아 사용 하는 방법이다.CDN호스트를 사용하는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학습 목적에는CDN을 많이 쓰는 편이다. 10lind 의 $(document).ready() 는 문서가 준비되면매개변수로 넣은 콜백 함수를 실행하라는 의미이다.jQuery 이벤트 메소드 중 하나이며 웹 개발에서 거의많이 쓰이기 때문에 구조는 알아두자. 보통 jQuery로 타겟을 잡아서 작업을 할때는 도큐먼트 레디안에서 많..
ECMAScript 5 부터는 정식으로 JSON 객체를 지원한다고 한다.JSON은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형태를 가지는 문자열을 뜻한다.이부분은 나중에 자세히 알아보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ECMAScript 5 JSON 객체의 2가지 메소드를 간단히 알아보겠다. 2가지 메소드는 JSON.stringify() 와 JSON.parse() 이다.JSON.stringify()는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JSON문자열로 변환하고 JSON.parse()는 JSON문자열을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시켜준다. 먼저 JSON.stringify() 메소드를 짧게 사용해보자. 다음 JSON.parse() 메소드를 사용해보자.
ECMAScript 5 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면 HTML5 와 함께 출현한 자바스크립트 표준안을 ECMAScript 5 라고 부른다.EMCAScript 5 는 기존의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 관련 부분을 많이 보완 했다. 끝. EMCAScript 5 에는 여러 메소드가 존재하는데그 중 반복 메소드에 대해서만 알아보겠다.(내가 얼마전에 블로그에 indexOf 메소드에 관해 글을 포스팅 했는데indexOf 메소드는 ECMAScript 5 에서 탐색 메서드에 속한다.) EMCAScript 5 의 반복메소드에는 forEach() 와 map() 이 존재한다. forEach()는 배열의 각각의 요소를 사용해 특정 함수를for in 반복문처럼 실행한다. map()은 기존의 배열에 특정 규칙을 적용해 새로운배열을 ..
속성과 메소드(feat. this) 보통 배열 내부에 있는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 반면 객체 내부에 있는 값은 속성(property) 이라고 부른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요소와 속성이차이가 있어 요소와 속성이라고 구분지어 부른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요소와 속성이 다르지않아서둘 중 아무거나로 불러도 상관이없다. 객체의 속성 중 함수 자료형인 속성을 우린 메소드라 부른다.메소드 내에서 자기 자신이 가진 속성을출력하고 싶을 때는 자신이 가진 속성임을 분명하게표시해야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this 키워드 이다. 간단하게 속성과 메소드 this 키워드를 사용해 짧은 코드를 실행해보자. web 이라는 객체를 생성하고 그 안에 name, eat 속성을 만들어 주었다.eat 속성은 함수 자..
지금까지 JAVA, JSP, SPRING 등 공부를 하면서이것저것 만들어 보기도하고, 공부하느냐다른 사람의 소스코드도 분석해서 테스트도 해보고여러가지를 해봤는데 그때마다 자바스크립트와 제이쿼리를많이 사용해왔다. 하지만 요즘 부쩍 자바스크립트와 제이쿼리가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아서 복습겸 다시 공부를 해보려한다. 일단 내가 선택한 책은"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jQuery 입문" 이라는 책이고개인적으로 "자바스크립트 완벽가이드"라는 책을 사서 공부해 보고싶었지만 먼저 가지고 있던 책을 공부한 후, 완벽가이드 책을 사서공부를 할 계획이다. 블로그에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포스팅을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