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OKKY 에서 비전공자분들을 위한 좋은 글이 나와 내 블로그로 퍼왔다.OKKY에서 많은 좋아요를 받아 Weekly Best에 올라갔다. 비전공으로 개발입문을 하고자 한다면 꼭 읽어보자 원글 주소 : (https://okky.kr/article/680617) ======================================= Okky라는 국내 최대의 개발자 커뮤니티를 꽤 오랜기간눈팅하면서 때로는 자신감도 얻었고,때로는 자괴감도 얻었습니다. '와 저렇게까지 공부하고 노력하는 사람도 있구나... 대체 난 뭐하는 놈이지?' 사실 자신감보다는 자괴감을 더 많이 얻었습니다.(그 자괴감이 채찍이 돼서 겨우 여기까지 오게 된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그렇고 그런, 비전공 학원출신 개발자입니다.정말 힘..
최근에 OKKY에서 많은 좋아요를 받아Weekly Best 에 오른글을 퍼왔다. 신입이던 신입이 아니던 한번 읽어보면 좋을것 같다. 원글 출처 : (https://okky.kr/article/681218) ============================ 2001년 1월말에 신입으로 입사해서 이제 만 19년이 막 지났네요.배도 안나왔고, 머리숱도 아직 멀쩡하고 결혼도 했으니 나름 성공했네요.뭐 딱히 글을 잘 쓰는것도 아니라서 필력좋게 길게는 못씁니다. 그간 많은분들과 일해봤었는데 (회사에서 일하거나 SI를 하거나)생각나는 아쉬운 부분들만몇가지 써볼께요. 시간 되시면 그냥 슬쩍 읽어보세요. 아.. 저는 여전히 코딩합니다. 설계도 하고요. 그냥 개발자1 입니다. 1. 디버깅디버깅은 공부를 시작했건 현업에서..
2018년 1월에 혼자 웹 개발 공부를 하며모르는 메소드나 기능구현을 위해구글에서 검색하며 돌아다니다가많은 블로그를 보았다. 이때 블로그 들을돌아다니며 생각했던 것이 왜 이 블로그 관리자는글 을 쓰면서 이 부분은 왜 설명을 안쓴거지?또는 이부분 설명을 왜이렇게 못알아 듣게 정리한걸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 블로그를 돌아다니면서스트레스를 좀 받았다. 너무 설명이 잘 되어있지 않는블로그들이 많아서. 물론 그 글을 쓴 사람의 입장에서는"이정도는 쉬우니 설명 안써도 알아듣겠지?" 라고생각해서 설명을 안쓴 이유도 있을 것이다. 물론 나도 가끔소스 코드 설명을 할때 그렇긴 했다. 근데 이제 막 웹 개발쪽으로 일을 하고 싶어서 뒤늦게공부하는 사람들 또는 초보 개발자 분들, 컴퓨터 전공이 아닌데진로를 웹 개발로..
'개발자의 평생공부' 란 임백준 님의 글이다. 좋은 글 같아서 내 블로그로 퍼왔다. 출처 : (http://m.zdnet.co.kr/column_view.asp?article_id=20170616090644#imadnews) ------------------------------------------------------------------------------ 평생 공부하는 건 개발자만이 아니다.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쉼 없이 공부하고, 컨퍼런스와 세미나를 참가하고, 스터디를 한다.공부없이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언뜻 보기에 공부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바텐더조차 공부할 것이 많다. 바텐더를 위한 컨퍼런스는 물론이고 전문적인팟캐스트 방송까지 있다. 공부는 누구나 하는 것이므로 공부한다는사실..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좀 써야 겠다 하고이곳저곳 돌아다니다 좋은 글이 있어내 블로그로 퍼왔다. 할거없을때 한번읽어보면 좋을것 같다. 출처 : (https://repo.yona.io/doortts/blog/post/292) ------------------------------------------------------------------- 좋은 면접자/지원자가 되는 방법 부제: 기술면접 잘 보는 방법이제 면접이 한창인 시즌입니다. 많은 IT 기업들이 공채를 통해신입사원들을 뽑았고 뽑고 있습니다. 그 동안 면접을 진행하고 면접을 진행하셨던 분들의이야기를 들으면서 느껴지는 것이 몇 가지 있어서 공유합니다.참고로 제가 'IT 기술면접 - 프로그래머나 엔지니어 채용'밖에 경험이없기때문에 이쪽분야에 한정된 이야기..
포트폴리오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 이글은 okky에서 본적이 있어서 내 블로그로 퍼왔다. 출처 : (https://okky.kr/article/368504) --------------------------------------------------------------- 지금 신입사원을 구인중이기도 해서 도움이 될까 싶어 몇자 남깁니다.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제 기준일 뿐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1. 파일은 공통포맷으로 제출hwp, alz 등과 같은 특정 SW에 종속적인 포맷은 상당히 꺼려집니다.기업은 이들 포맷을 이용하기 위해선 기업용 라이센스를구매해야 하며 또는 별도의 문서도구를 이용해야합니다.(음성적인 방법으로 쓰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PDF, DOC 의 포맷이나 구글독스도 좋습니..
신입 S/W 개발자를 위한 이력서 쓰기. 출처 : (http://parkscom.tistory.com/1167111262) -------------------------------------------------------- 요며칠 어쩌다보니, 신입사원 공채 이력서를 내가 검토하는 위치에올라서고 말았다. 이력서를 보면서 느껴지는 내용과 조언을 좀 적어보련다.(내 개인생각이므로, 이게 정답은 아니다. 알아서 하시라.)이 글은 얼마간은 전체적인 취업 시장에, 일부 특정소프트웨어 개발자 취업에 소용되는 이야기니까 알아서 읽으삼.(그리고, 중소기업 대상 이야기다) 먼저, 이력서에 항상 나오는 상투적인 이야기부터 정리하자. 1.이력서에 먼놈의 어린 시절 이야기는 그렇게 많냐?나는 어디서 태어나서 부모님과 행복하게..
okky에서 sbroh 닉네임 쓰시는분이 어느 글에 댓글을 달아주셨는데글이 좋은것 같아 내블로그로 퍼왔다. --------------------------------------------------- 프로그래밍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어떤 기업에 들어가야 될까요? 1.일단 코딩테스트를 까다롭게 보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2.신입이더라도 학교에서 공부를 얼마나 했는지꼬치꼬치 캐묻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3.당장 기술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1순위: 솔루션 회사,(들어갈 수 있다면) 포탈회사, 대형게임사. 2순위: 기술스타트업(서비스스타트업 몇 곳도 괜찮은 곳들이 있긴 합니다.우아한형제들, 후로그램스, 플리토, 노리 등)3순위. 개발용역회사(SI, 웹에이전시 포함)라고 생각합니다. 4.사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