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블로그에 신경을 못쓰고 쓸만한 소재를 못찾아서포스팅을 계속 미루고 있었는데이러다가 블로그에서 손을 뗄거같다는 생각이들어오늘은 무조건 글 하나를 포스팅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한 달 동안 포스팅이 없어서 쓸만한 글 을 찾던중 okky에서 좋은 글 하나를 발견했다. 원글 : (https://infiniteinformation.tistory.com/73) ========================= 학벌이 낮아도 일 잘하는 사람일 수 있다? 1.문제해결 능력의 중요성 -자본주의는 크게 3가지 자본으로 구성된다. 물적 자본, 지적 자본, 인적 자본 이다.그 중에서 인적 자본에서 늘 교육 수준을 이야기 한다. 일반적으로 인재라고 생각하면 대체로 학력이 좋은 사람을 꼽는다.그렇다면 교육 수준이 높고 좋은 학력..
이전 포스팅에서 톰캣의 lib 실행순서를 직접 확인했다. 첫 번째로.class 파일을 읽고두 번째로 WEB-INF/lib세 번째로 tomcat/lib 를 읽었다. 사실 이 lib 실행순서는 톰캣 문서에 적혀 있다.나는 톰캣7을 사용했으니 톰캣7문서를 읽어보겠다. 톰캣문서 : (https://tomcat.apache.org/tomcat-7.0-doc/class-loader-howto.html) 톰캣은 클래스나 리소스를 로딩할때 아래의 순서로로딩한다고 적혀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테스트했던 순서이다. 를 사용하면순서가 바뀌는데 한번 사용해보자. 먼저 위에서 바뀌는 실행순서를 보면 기존에는 WEB-INF/lib 가 먼저 로딩됬지만tomcat/lib 가 먼저 로딩되는것으로 순서가 바뀌게 된다. WEB-INF/li..
이번엔 명령프롬프트 창에서직접 톰캣을 구동해 직접 lib 를 읽어보는테스트를 해보자. 먼저 이전 포스팅처럼 getMessage.java 클래스를 만들고getMessage~~!!를 출력하게끔 만들었다. 이제 jsp 에서 한번 실행한 후.class 파일을 바탕화면으로 복사해둔다..class 파일은 생성경로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으면아래처럼 Navigator 에서 classes 경로에서 가져올 수 있다. 이제 아래처럼 first getMessage~~!!를 출력할 jar 파일을 만들어준다. first 부터 thrid 까지 총 3개를 만들어준다. getMessage.class 파일과 3개의 jar파일, 실행할 jsp파일을 생성해 모아두면 된다 jsp파일은 이전 포스팅에서 사용하던것과같은 jsp 파일이다. 이제 위..
이제 저번 포스팅에서 만든getMessage.java 클래스를 jar파일로만들어 lib 에 jar파일을 넣고 실행을 해보자 우선 아래처럼 java 파일을 선택후 Export 해준다. 다음 JAR file을 선택해 Next해준다. JAR file이 없다면위 Select an export destination 에서검색을 해준다. 다음 아래처럼 해당 패키지를 클릭하면 오른쪽에 패키지 안에 존재하는java파일들이 보이며원하는 java파일을 선택해 Finish를 눌러준다JAR 파일이 생성될 경로도 정해준다. 아래처럼 jar파일이 생성된것을 볼 수 있다. 이제 생성한 jar파일을 아래처럼이클립스의 WEB-INF/lib 경로에 넣어준다.다음 test 패키지 안에있는 getMessage.java 파일을삭제해준다. 이제..
개발을할때 엄청난 양의 lib를 사용한다. 보통 프로젝트에서 우린 lib를 추가할때WEB-INF/lib 경로에 라이브러리를 추가해 사용한다. 하지만 lib의 경로는 WEB-INF/lib 에만있는게 아니다. 톰캣을 설치받은 경로 안에 lib도 있다. 이제 직접 lib에 jar파일을 생성해 넣어보고위에서 말한 두 가지 경로의 lib를 사용해보자.일단 아래처럼 테스트용 프로젝트를 생성하고아래에 표시된 클래스와 jsp파일을 하나씩 만들자 test패키지를 하나 생성해주고 그 안에 getMessage 라는 class를 생성했다.다음 아래처럼 getMessage!!라는 문자를 반환 하게 했다 jsp에서는 위에서 생성한 클래스를 사용하게했다. 다음 클래스가 잘 만들어졌는지jsp를 실행시켜보자. 아래처럼 클래스안에 정의..
jQuery는 앞단에서 중요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제이쿼리를 사용할때 타겟을 잘 잡아서원하는 값을 java단으로 보내줘야 원할하게데이터가 흐를수 있다. 제이쿼리는 책을보며 따라치는 것도좋지만 미리 만들어져 있는 예제들을수정해보며 타겟잡는 연습을 해보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아래 링크에 들어가 https://www.w3schools.com/jquery/jquery_traversing_descendants.asp 여러가지 제이쿼리 예제를 볼수 있으며 아래처럼 Try it Yourself 를 눌러실행 예제를 볼수있다. 소스를 직접 수정해 Run을 눌러 실행도 해볼 수 있다.
로그인, 회원가입 등 화면에서 우리는 여러가지 값을 입력 할때가 많다. 로그인을할때 ID에 우린 영어를 입력하고주소, 이름 등에는 한글을 입력한다. 입력 폼을 우린 jsp에서 input 태그를 사용하는데input 태그를 사용해 기본적인 로그인, 회원가입 등에서쓰이는 입력 폼을 만든다. 회원가입을 할때 이름, 주소에는 보통 한글을 입력한다.근데 간혹 영어부터 입력되는 사이트들이 있다. 또한 로그인을 할때도 ID란에 우린 영어를 입력해야 하는데한글이 써지는것을 보고 꼭 한/영 버튼을 누른다.별거 아니지만 굉장히 귀찮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input 태그에서 ime-mode라는 style 속성을사용할 수 있다. ime-mode를 통해 한글 또는 영어를 기본값으로 넣어입력되는 언어를 선택할 수있다. 사..
예외 처리 - 자바 개발자가 가장 신경 쓰기 귀찮아하는 것정상적인 결과와 흐름을 보여주는 것도 힘든데예외상황까지 처리해야 한다. 그래서 예외와 관련된 코드는 자주 엉망이 되거나무성의하게 만들어지기 쉽다. 아래는 자바 기초를 배울때 만들어내는 JDBC 코드에서흔히 볼 수 있다. 예외를 잡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예외 발생을 무시해버리고 정상적인상황인 것처럼 다음 라인으로 넘어가겠다는의도가 있는게 아니라면 절대 만들어서는안되는 코드이다. 예외가 발생하면 catch로 잡아내는 것까지는 좋은데아무것도 하지않고 넘어가는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다.왜냐하면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디선가오류가 있어서 예외가 발생했는데 그것을 무시하고 계속진행해버리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오작동을 하거나 시스템 오류가 나서 운영자가알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