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 처리 - 자바 개발자가 가장 신경 쓰기 귀찮아하는 것정상적인 결과와 흐름을 보여주는 것도 힘든데예외상황까지 처리해야 한다. 그래서 예외와 관련된 코드는 자주 엉망이 되거나무성의하게 만들어지기 쉽다. 아래는 자바 기초를 배울때 만들어내는 JDBC 코드에서흔히 볼 수 있다. 예외를 잡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예외 발생을 무시해버리고 정상적인상황인 것처럼 다음 라인으로 넘어가겠다는의도가 있는게 아니라면 절대 만들어서는안되는 코드이다. 예외가 발생하면 catch로 잡아내는 것까지는 좋은데아무것도 하지않고 넘어가는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다.왜냐하면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디선가오류가 있어서 예외가 발생했는데 그것을 무시하고 계속진행해버리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오작동을 하거나 시스템 오류가 나서 운영자가알아차..
이번엔 레프트 메뉴를 추가해 보겠다. 먼저 default-left.jsp 들어가자.다음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단 과 form을 집어 넣자.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 var left = { pageSubmitFn : function(pageName) { $("#pageName").val(pageName); if(pageName == "mainMenu") { $("#frm").attr("action", "main.do"); } else if(pageName == "welcomeWebMenu") { $("#frm").attr("action", "welcomeWeb.do"); } $("#frm").submit(); }} Colored by Color Scripterc..
저번 포스팅에서 DB셋팅을 했다이번엔 맵퍼설정과 부트스트랩 사용 마무리를 하겠다. 먼저 컨텍스트 맵퍼 xml 에서 아래와같이 수정한다.기존의 sample를 지우고 **를 넣어주면 된다.이것을 넣어줌으로써 example밑에 어떤 폴더를 만들어 넣든적용이 될것이다. 맵퍼는 SQL을 가리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 아래처럼 index.jsp 를 수정해준다.jsp 액션태그를 사용하여 main.do로 포워딩 시킨다. 다음 아래와 같이example 폴더안에 main 폴더를 만들어주고그안에또 web폴더를 만든후 메인 컨트롤러를 넣어준다.그안에 내용은 아래와 같다.main.do를 받아 main/main.tiles로 리턴한다 다음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정해서 사용하려는main.jsp를 만들어 넣어준다 자기가사용하려는 부트스트..
저번 포스팅에서 디스패처서블릿 수정 까지 했다.다음 저번 포스팅에서 타일즈 셋팅을 위해 설정했던default-layout 을 만들어 줘야한다. 디폴트 레이아웃은 아래와 같은 내용이다 먼저 헤더, 레프트, 네비, 컨텐트, 푸터 로 5부분으로 나누었다(자기가 사용하려는 부트스트랩 또는 개발 마다 달라질수 있다)뷰가 서로 끼워맞춰지는 설정이다.여기서 중요한것은 16line 인데 egovframework/example 밑에 jsp 파일들 모두 이 타일즈를 적용시키겠다는 의미이다. 이제 부트스트랩 사용을 위해 타일즈 분할 파일들을 넣어줘야한다. 다음 본인이 사용하는 부트스트랩 템플릿의 css, img, js등을 넣어준다. 다음 컨텍스트데이터소스xml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난 오라클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와같이..
이번 포스팅에선 이전 포스팅에서 사용한트랜잭션 보다 좀더 사용하기 편한 방법을알아보겠습니다. 플랫폼 트랜잭션 매니저 인터페이스 보다더욱 많이 사용되는 방법 입니다. 먼저 servlet-context.xml에서새로운 빈을 추가해줍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 Colored by Color Scriptercs 40line의 트랜잭션템플릿을 새로 추가해줍니다다음 44line 에서 방금 만든 트랜잭션템플릿을레퍼런스로 참조합니다.50line은 저번 포스팅에서 사용하던 소스입니다. 다음 DAO로 이동합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트랜잭션 rollback 기능을 추가해보겠습니다 먼저 servlet-context.xml에트랜잭션매니저 빈을 생성해야합니다 123 Colored by Color Scriptercs 다음 DAO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하는플랫폼트랜잭션매니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합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package com.spring.ex.dao; import java.sql.Connection;import java.sql.Prepa..
이번엔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잭션은 논리적 단위로 어떤 한 부분의 작업이완료되었다 하더라도 다른 부분의 작업이 완료되지않을 경우 전체작업이 취소가되는 것입니다.이때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커밋이라고 하고작업이 취소되는 것을 롤백 이라고 합니다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트랜잭션의 예를 많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영화 예매를 할 경우카드 결제 작업과 마일리지 적립 작업을 볼수있습니다이때의 작업들은 트랜잭션으로 작동해야 합니다또한 은행 ATM기기와 쇼핑몰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먼저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이번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이전 포스팅을먼저 보셔야 합니다. 먼저 티켓 구매를 위한 간단한 jsp화면을 만들어줍니다buy_ticket.jsp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이번엔 스프링JDBC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JDBC를 사용하면 DAO에서매번 반복하던 코드를 줄일수 있습니다(드라이버 로드, 커넥션 생성 및 DB연결, SQL실행, 자원해제)이런 반복적인 작업을 스프링에서는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습니다스프링에서 제공하는 JDBC템플릿을 사용하면 간단합니다 먼저 JDBC 템플릿을 사용하려면pom.xml에서 를 추가해 줘야합니다 위 이미지처럼 pom.xml 에서 의존 추가합니다 다음 servlet-context.xml에서 DB연결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 Colored by Color Scriptercs 24line 부터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