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16)포스팅에서 만든 회원인증 프로젝트와저번 포스팅에서 다운받은 부트스트랩으로게시판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번 게시판은 MVC 모델2방식으로 만들겠습니다. 먼저 부트스트랩 적용한 login 화면과join화면 main화면 보여드리겠습니다.css에 대한 설명은 하지않겠습니다또한 게시판은 제 블로그 JSP 카테고리 에서다루었던 내용들을 사용했기때문에자세한 소스 해석은 하지 않겠습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JSP 게시판 JSP 게시판 웹
이번엔 (16)포스팅에서만든 회원인증 프로그램에 게시판기능을 같이 만들어 보겠습니다.이번엔 게시판과 함께부트스트랩 이용해서 좀더디자인적인 면도 이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먼저 아래이미지 대로getbootstrap.com 사이트에 가서부트스트랩을 다운받습니다 -- -- -- 다음 받은 파일에서 css, js, fonts 폴더를복사해서 이클립스 프로젝트WebContent 에 붙여넣기 합니다 다음 디벨로퍼에서 테이블과 시퀀스를생성합니다 시퀀스는 primary key 설정된 bId 값이1씩 자동으로 증가하게 하기 위해 생성합니다bId는 글번호 입니다.Group와 Step Indent는 답글을 위해 만들어줍니다보통 답글은 원래의 글보다 글쓰기가 들여쓰기 되어있고 댓글들의 그룹을 표시하기위해위3가지 데이터를 생성한겁..
MVC 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 를 뜻하는 용어로 개발 형태의 일종입니다.Model은 데이터 베이스와의 관계를 담당합니다.클라이언트의 요청에서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뽑아내거나 수정하여 Controller 로 전달 합니다.View는 사용자한테 보여지는 UI화면입니다 주로.jsp 파일로 작성합니다.Controller에서는 어떤 View 컴포넌트를 보여줄지 결정합니다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적절한 Model에지시를 내리며 Model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적절한View에 전달 합니다.이렇게 작업을 분할하여 개발을 한다면유지보수및 확장성에 굉장히 좋습니다. 먼저 MVC 패턴에는 2가지의 방식인Model1 방식와 Model2방식이 있습니다 모델1방식은Vie..
Command 패턴이란?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들에 대해 서블릿이 작업을 직접하지않고 해당 클래스가 처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jsp 에서 게시판의글목록들을 보여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면서블릿에선 이 요청을 받고게시판 글목록을 출력시켜주는 클래스로일을 넘깁니다. 예제를 보겠습니다. 위와같이 서블릿에서 게시판 글목록 출력을요청 받으면 게시판 글목록 출력을 수행해주는BListCommand 라는 클래스로 일을 시킵니다.-- -- 그리고 BListCommand 클래스에서 BCommand 라는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dao 에 접근하여로직을 수행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게시판을 다루며직접 사용해보겠습니다
FrontController 패턴 이란?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청을 한곳으로 집중시켜개발 및 유지보수에 효율성을 극대화 합니다. 즉 여러개의 요청이 들어왔을때각 요청의 일을 수행하는 서블릿을하나하나 따로 만드는것이 아니라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서블릿 하나를만드는 것입니다.먼저 구조를 보면 첫번째 구조가 FrontController 패턴을 쓰기전이고두번째 구조가 FrontController 패턴을 사용한것입니다. 간단하게 사용법을 보자면 jsp 에서 .do로 가는 값들을 서블릿에서 모든요청을 받은후 처리합니다.
url-pattern 이란? 우리는 어떤 서블릿을 만들고서블릿 맵핑을 시킨다 서블릿을 사용하면 주소에 경로가 뜨게된다이것은 보안에 굉장히 좋지않다.그래서 특정한 단어로 맵핑을 한다. url-pattern 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디렉토리 패턴, 확장자 패턴,보통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것처럼어노테이션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 디렉토리 패턴은 디렉토리형태로 서버의 해당 컴포넌트를 찾아서실행하는 구조이다. 확장자 패턴은 확장자형태로 서버의 해당 컴포넌트를 찾아서실행하는 구조이다 디렉토리 패턴은 이전 포스팅에서계속 사용했으므로 따로정리하지 않겠습니다. 확장자 패턴의 사용법은예를 들어 jsp 파일에서 form태그의 값을 넘길때 action값으로 위와 같이 .do 로 데이터를 보냅니다다음 서블릿에서는 위처럼 *.do..
이번엔 포워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내가 어떠한 요청을 받았을때그것을 내가 직접 처리하지않고다른쪽으로 위임할때 포워딩 이라고한다 포워딩은 우리가 JSP 서블릿에서2가지 클래스를 이용한다RequestDispatcher 클래스와HttpServletResponse 클래스를 이용한다 먼저 RequestDispatcher 클래스에대해 알아보자이 클래스는 요청 받은 요청객체(request)를 위임하는컴포넌트에 동일하게 전달 할 수 있다. 직접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먼저 request.java 이름의 서블릿과dispacher.jsp 파일 만들어줍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package com.jsp.ex; import..
JSTL 이란? JSP의 경우 HTML 태그와 같이 사용되어 전체적인 코드의가독성이 떨어진다.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만들어진 태그 라이브러리가JSTL 이다JSTL의 경우 우리가 사용하는Tomcat 컨테이너에포함되어 있지 않아별도의 설치를 해서 사용해야합니다 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jakarta.apach.org 들어가줍니다다음 아래 이지미 순서대로해주시면 됩니다 -- - -다운받은 파일의lib 속에 jar 파일 2개를아래와 같이 이클립스 프로젝트lib안에 복사 붙여넣기해주시면 됩니다 JSTL 에서는 다섯 가지의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이중 제일 중요한 Core lib 에 대해 알아보자 Core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로출력, 제어문, 반복문 같은기능이 포함되어 있다이 라이브러리르 사..